삭녕 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삭녕 최씨는 고려 시대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최천로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삭녕 최씨는 최유가를 중시조로 하여 낭장공파와 부사공파로 나뉘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33명과 영의정 2명을 배출했다. 본관은 삭녕으로, 현재의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 일대에 위치했던 지역이다. 주요 인물로는 최사유, 최항, 최흥원, 최한기 등이 있으며,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삭녕 최씨는 항렬자를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강원도 원주시, 경기도 광주시, 경상남도 사천시, 전라남도 구례군, 전북 남원시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15년에는 58,142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삭녕 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삭녕 최씨 | |
![]() | |
관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철원군 개성시 장풍군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 |
시조 | 최천로(崔天老) |
중시조 | 최유가(崔瑜賈:價) |
집성촌 | 원주시 지정면 경기도 광주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경상남도 사천시 |
인물 | 최사유 최민 최항 최영린 최영호 최흥원 최한기 최병직 최연국 최병주 최문경 최세경 최성석 최명희 최인석 |
년도 | 2015년 |
인구 | 58,142명 |
비고 | 삭녕최씨 전국대종회 |
2. 역사
삭녕 최씨의 시조 최천로(崔天老)는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고 한다. 삭녕 최씨의 본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철원군에 위치하고 있다.
2. 1. 고려 시대
중시조 최유가(崔瑜賈)는 고려시대 1169년(의종 23년) 기축방(己丑榜)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감대사성, 추밀원부사, 추밀원사를 거쳐 참지정사(知政事)를 지냈고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최유가의 전후 중간 세계가 전해지지 않아 상고할 수 없으므로 친어모군낭장(親禦侮軍郎將) 최선보(崔善甫)를 1세조로 하는 낭장공파(郎將公派)와 함경전부사(含慶殿副使) 최연(崔珚)을 1세조로 하는 부사공파(副使公派)의 두 계통이 존재한다.
2. 2. 조선 시대
삭녕 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33명, 영의정 2명(최항, 최흥원)을 배출하였다.- 최사유(崔士柔, 1372년 ~ 1458년) : 1399년(정종 1) 생원시·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55년 좌익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 최민(崔岷) : 1405년(태종 5) 식년시 동진사 7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1년 도관 정랑, 군수를 역임하였다.
- 최항(崔恒, 1409년 ~ 1474년) : 최사유의 아들.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집현전 관원으로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용비어천가』·『동국정운』·『훈민정음해례』·『경국대전』 등을 찬진하였다. 1467년 영의정에 올랐고, 1470년(성종 1) 영성부원군에 봉해졌으며, 1471년 다시 좌의정이 되었다.
- 최영린(崔永潾, ? ~ ? ) : 1462년(세조 8) 사마시에 합격하고, 1464년(세조 10) 『의서유취』 편찬에 참여하였다. 1466년(세조 12) 고성춘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1474년(성종 5) 해조당상을 맡았다.
- 최영호(崔永灝, 1457년 ~ 1481년) : 최항의 차남. 1477년(성종 8) 21세 때 식년시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 1위로 급제하였다. 경차관으로 경상남도 고성 임지에서 25세의 젊은 나이에 서거하였다.
- 최수언(崔秀彦, 1475년 ~ 1517년) : 중종조 문인으로 진사에 급제하여 예문관 한림, 홍문관 응교를 역임하고 이조판서에 올랐다.
- 최흥원(崔興源, 1529년 ∼ 1603년) : 최항의 증손. 1568년(선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영평부원군에 봉해졌고,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1604년 호성공신 2등, 1605년 선무원종공신 1등으로 녹선되었다.
- 최치옹(崔致翁, 1635년 ~ 1683년) : 1660년(현종 1)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옥구현감, 사헌부지평을 지냈다. 글씨를 잘 써서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에 「보조국사감로탑비문」이 전한다.
- 최한기(崔漢綺, 1803년 ~ 1877년) : 최항의 방계혈족. 조선 말기 실학자.
- 최병직(崔炳直 1864년 ~ 1942년) : 조선 말기 문신. 최항의 16대손. 1894년(고종 31) 창경궁 춘당대에서 치러진 조선의 마지막 식년시에서 문과 급제(갑과 2위)하였다. 이후 한림, 봉상시직장, 비서감랑, 세자시강원 시강을 지냈다.
3. 본관
삭녕은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철원군 일부 지역에 위치했던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 소읍두현이라 불리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삭읍으로 개칭되어 토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삭녕으로 이름을 바꾸고, 1018년(현종 9)에는 동주(철원군)에 병합되었다가 1107년(예종 2)에 승령현으로 이속되었다. 1413년(태종 14)에 지군사로 승격하여 승령현을 병합하였고, 1414년에 안협현을 합쳐서 안삭군이 되었다. 1416년에는 안협현을 분리하여 부활시키고 삭녕군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에 경기도 삭녕군이 되었다. 1914년 삭녕군이 폐지되어 내문면, 인목면, 마장면은 강원도 철원군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연천군에 병합되었다.
4. 인물
- 최사유(崔士柔, 1372년 ~ 1458년): 1399년(정종 1) 생원, 진사시에 합격하고, 1402년(태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55년 좌익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 최민(崔岷): 1405년(태종 5) 식년시 동진사 7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 최항(崔恒, 1409년 ~ 1474년): 최사유의 아들.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 최영린(崔永潾, ? ~ ? ): 1462년(세조 8) 사마시에 합격하고, 1466년(세조 12) 문과에 급제하였다. 형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 최영호(崔永灝, 1457년 ~ 1481년): 최항의 차남. 1477년(성종 8) 식년시 춘당대시 문과에 병과 1위로 급제하였다. 경차관으로 경상남도 고성에 파견되었다가 급병으로 25세에 사망하였다.
- 최수언(崔秀彦, 1475년 ~ 1517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예문관 한림, 홍문관 응교를 역임하고 이조판서에 올랐다.
- 최흥원(崔興源, 1529년 ∼ 1603년): 최항의 증손. 영의정을 역임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 최치옹(崔致翁, 1635년 ~ 1683년): 1660년(현종 1)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옥구현감을 거쳐 사헌부지평을 지냈다.
- 최한기(崔漢綺, 1803년 ~ 1877년): 최항의 방계혈족. 조선 말기의 실학자.
- 최병직(崔炳直 1864년 ~ 1942년): 조선 말기의 문신. 최항의 16대손. 1894년(고종 31)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비서감랑 등을 역임하였다.
5.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6. 항렬자
삭녕 최씨는 낭장공파와 통일 항렬을 사용한다. 낭장공파의 항렬은 19세 우(遇), 20세 구(九), 21세 병(炳), 22세 우(宇) 순이다. 통일 항렬은 다음과 같다.
항렬 | 이름 |
---|---|
25세 | 현(鉉) |
26세 | 수(洙) |
27세 | 상(相) |
28세 | 환(桓) |
29세 | 섭(燮) |
30세 | 재(載) |
31세 | 승(丞) |
32세 | 운(雲) |
33세 | 춘(春) |
34세 | 헌(憲) |
35세 | 오(梧) |
36세 | 경(京) |
37세 | 순(純) |
38세 | 용(容) |
39세 | 원(元) |
40세 | 탁(卓) |
6. 1. 낭장공파
낭장공파는 19세 우(遇), 20세 구(九), 21세 병(炳), 22세 우(宇) 순으로 이어진다.6. 2. 통일 항렬
삭녕 최씨는 25세 현(鉉), 26세 수(洙), 27세 상(相), 28세 환(桓) 순으로 항렬을 사용한다.항렬 | 이름 |
---|---|
25세 | 현(鉉) |
26세 | 수(洙) |
27세 | 상(相) |
28세 | 환(桓) |
29세 | 섭(燮) |
30세 | 재(載) |
31세 | 승(丞) |
32세 | 운(雲) |
33세 | 춘(春) |
34세 | 헌(憲) |
35세 | 오(梧) |
36세 | 경(京) |
37세 | 순(純) |
38세 | 용(容) |
39세 | 원(元) |
40세 | 탁(卓) |
7. 집성촌
지역 |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사천읍, 정동면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신도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계수리, 이백면 효기리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신풍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신정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학운3리 |
8. 인구
연도 | 인구 |
---|---|
1985년 | 37,872명 |
2000년 | 38,736명 |
2015년 | 58,142명 |
삭녕 최씨는 1985년에는 37,872명, 2000년에는 38,736명, 2015년에는 58,142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